본문 바로가기

동짓날 팥죽먹고 템플스테이(12월21~22일)

        

    

          사라져 가는 우리의 풍습들,

              동짓날 팥죽을 먹는것은 오래된 우리의 전통적인 풍습으로

              끈끈하게 이어오다 어느때 부터인가 가정에서

              동지팥죽을 끓이는 풍습은 사라져 가고 있지요.

              동지는 일년중 하루해가 가장 짧고 밤이 제일 긴 절기입니다.

              그리고 다음날부터 다시 해가 길어지기 시작하는데

              옛 사람들은 태양이 죽음에서 다시 태어나는 날로 여겼다고 합니다.

              마치 새해에 떡국을 먹고 한살 더 먹었다 하듯이

              동짓날 팥죽을 먹고도 한살 더 먹었다고 생각하는 새해의

              의미도 지녔다고 합니다   

    

             이렇게 동짓날 팥죽을 꼻여먹게 된 이유는

             옛날부터 동짓날에는 팥죽을 쑤어먹지 않으면 늙고 잔병이

             생기기 쉬우며, 잡귀가 성행한다고 하여

             팥죽을 먹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것은 팥의 붉은색이 양의 기운을 가진 색이라

             음의 기운을 쫓는 효과가 있을거라 믿었기 때문일겁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한해를 무사히 잘 보내고 다시 맞이하는 새해를

             모두 무탈하게 보내고자 하는 염원이 담긴 풍습이 아니었을까요?

 

             그런 의미에서 동지전날 우리 문수암에 오셔서

             새알 빚기도 하시고 따끈한 팥죽도 드시면서

             겨울 밤하늘 쏟아지는 별빛도 감상 하십시요.

 

 

 

 

            1일차 (정원 15명)

 

 

            오후 2시 ~ 3시         : 도착

            3시        ~ 3시 30     : 오리엔테이션

            3시 30분 ~ 5시         : 새알 비비기 울력

            5시        ~ 6시 30     : 저녁공양 및 휴식

            6시 30분 ~ 8시         : 저녁예불 및 108배,명상

            8시        ~ 9시         : 따뜻한 차와 함께 스님과의 대화

 

          

            2일차

 

          새벽5시 ~ 5시 50  : 새벽예불 (개인 사정에 따라 선택)

            5시 50  ~ 7시 30  : 아침공양(동지팥죽)

            8시 30  ~ 11시    : 팔단금 기체조와 바보숲길 걷기

            11시     ~ 12시    : 점심공양후 회향